[브랜드 스토리] 오늘의집이 걸어온 길
오늘의집의 역사: 인테리어 플랫폼의 진화와 성장 이야기
누구나 집을 예쁘게 꾸미고 싶어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셨죠? ‘오늘의집’이 그 해답이 되어왔어요.
이제는 누구나 인테리어 지식이 없어도 되는 세상이 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정말 애정하는 서비스 중 하나인 ‘오늘의집’의 역사와 걸어온 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처음 자취방을 꾸미던 시절, SNS에서 우연히 발견한 예쁜 방 사진 하나가 제 모든 인테리어 인생의 시작이었죠. 그 사진 아래에는 ‘오늘의집’이라는 이름이 적혀 있었고, 그 순간부터 저는 이 플랫폼의 팬이 되었답니다. 이 글을 통해 오늘의집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여정을 거쳐 지금의 위치에 오르게 되었는지 찬찬히 들여다보려 해요.
오늘의집의 탄생 배경
오늘의집은 2013년 한양대학교 출신의 김윤환 대표가 창업한 버킷플레이스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였어요. 그 당시만 해도 국내 인테리어 시장은 파편화되어 있었고, 정보를 얻기도 쉽지 않았죠. 그는 인테리어에 대한 정보를 한곳에 모아보자는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했고, 그게 바로 ‘오늘의집’이라는 앱으로 구체화됐어요. 처음엔 단순한 사진 공유 커뮤니티였지만, 사용자들의 반응이 폭발적이었죠. “이렇게 예쁜 집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하는 반응이 이어졌거든요.
출처 : 오늘의집 뉴스룸,
오늘의집은 아직도 10년이 넘는 역사를 쌓아왔고 더 이상 작은 팀이 아니지만, 오늘의집은 여전히 시작점에 서있다고 생각합니다.(Back to the Origins) 어제의 성과는 잊고 모두에게 동일하게 주어진 시간 안에서 빠르게 실행하며 레슨을 얻고, 더 나은 실행을 반복해서 성공을 쌓아가고자 합니다.
https://www.bucketplace.com/post/2025-02-19-%EC%98%A4%EB%8A%98%EC%9D%98%EC%A7%91%EC%9D%80-%EC%97%AC%EC%A0%84%ED%9E%88-%EC%8B%9C%EC%9E%91%EC%A0%90%EC%97%90-%EC%84%9C%EC%9E%88%EC%8A%B5%EB%8B%88%EB%8B%A4/
오늘의집은 여전히 시작점에 서있습니다. - 오늘의집 블로그
2025 Ohouse, Back to the Origins
www.bucketplace.com
초창기 성장 전략과 사용자 반응
오늘의집은 콘텐츠 기반으로 바이럴 효과를 노렸어요. SNS에서 집 사진이 공유되며 앱 유입이 늘어났고, 사용자들은 자신의 공간을 자랑하고 싶어 자발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했죠. 유저들이 만든 콘텐츠가 또 다른 유저들을 끌어들이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됐어요.
전략 | 효과 |
---|---|
SNS 공유 중심 | 빠른 유저 확보 및 브랜드 인지도 상승 |
사용자 자발 콘텐츠 생성 유도 | 커뮤니티 활성화 및 충성도 상승 |
서비스 확장과 플랫폼 진화
오늘의집은 단순한 커뮤니티 앱에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했어요. 사용자들이 사진을 보며 ‘이 제품 어디서 샀지?’ 궁금해할 때, 앱은 자연스럽게 커머스 기능을 탑재했죠.
- 가구, 인테리어 소품 판매 시작
- 전문가 시공 중개 서비스 도입
- 후기 기반 상품 추천 알고리즘 개발
수익 모델과 커머스 도약
오늘의집은 단순 광고 수익을 넘어 커머스로 본격적인 수익화를 시작했어요. 콘텐츠를 소비하던 유저들이 직접 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조는 엄청난 전환율을 만들어냈죠. 특히 후기 기반 쇼핑과 '같은 제품 보기' 기능은 유저들이 신뢰를 가지고 구매할 수 있게 했고, 이는 곧 높은 객단가와 재구매율로 이어졌답니다.
수익 모델 | 설명 |
---|---|
광고 수익 | 브랜드와 셀러를 위한 배너 및 노출 광고 |
커머스 수수료 | 판매된 제품에서 일정 비율 수익 공유 |
프리미엄 입점비 | 브랜드 노출 극대화를 위한 입점 요금 |
국내 인테리어 시장에 미친 영향
솔직히 오늘의집이 없었다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인테리어에 관심을 가졌을까 싶어요. 기존엔 전문가의 영역이던 인테리어가 이제는 ‘셀프 인테리어’로 확장됐고, ‘예쁜 집’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어요. 더불어 중소 가구 브랜드들도 큰 광고비 없이 소비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고요.
- 인테리어 시장 대중화 및 DIY 트렌드 강화
- 중소 브랜드 판로 확대 및 경쟁력 강화
- 사용자 리뷰 중심 쇼핑 패턴 정착
오늘의집의 미래 방향성과 과제
오늘의집은 앞으로 글로벌 진출, 데이터 기반 추천 시스템 고도화, B2B 인테리어 시장 진출 등 다양한 도전을 앞두고 있어요. 다만, 지나친 상업화로 인한 콘텐츠의 질 저하, 광고성 후기 문제 등은 해결해야 할 숙제죠. 사용자 중심의 경험을 계속 지켜나가는 게 관건입니다.
- 해외 사용자 확보 전략 필요
- AI 추천 시스템 고도화
- 광고와 리뷰의 경계 명확히 하기
오늘의집 이승재 대표의 로드맵
이승재 대표는 향후 사업 로드맵을 크게 3단계로 나눴다. ① 인테리어 디자인 플랫폼(커뮤니티) ② 인테리어 상품 커머스 구축 ③ 인테리어 원스톱 플랫폼이다. 계획대로 오늘의집은 2014년 커뮤니티 서비스를 시작했다. 커머스 기능을 갖춘 오늘의집 스토어가 생긴 때는 2016년이다.
커뮤니티 커머스의 가장 큰 강점은 ‘록인(Lock-in) 효과’다. 한번 플랫폼에 방문한 소비자를 묶어 두기에 유리하다는 의미다. 플랫폼 속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의견과 경험을 보고 들으며 소비자의 플랫폼 체류 시간은 길어진다. 체류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구매 전환 가능성’도 커진다는 의미다. 오늘의집 매출이 커머스 구축 이후 급격히 불어났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72억원이던 매출이 2019년 242억원, 2020년 759억원, 2021년 1176억원, 2022년 1680억원을 기록했다.
출처 : ‘先 커뮤니티 後 커머스’로 나 홀로 성장 [천억클럽]
https://www.mk.co.kr/economy/view/2024/419667
‘先 커뮤니티 後 커머스’로 나 홀로 성장 [천억클럽]
(8) 오늘의집(버킷플레이스)
www.mk.co.kr
2013년 김윤환 대표가 창업한 버킷플레이스에서 시작되었으며, 같은 해 ‘오늘의집’ 서비스가 출시되었습니다.
광고 수익, 커머스 판매 수수료, 프리미엄 입점비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보유하고 있어요.
네, 가능합니다. 콘텐츠에 등장한 제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커머스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요.
사용자 생성 콘텐츠 기반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커머스를 자연스럽게 연결한 점이 가장 큰 차별점입니다.
아직 국내 중심이지만, 글로벌 진출을 위한 준비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후기 기반의 리뷰, 실사용자 중심 콘텐츠, 신고 시스템 등을 통해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오늘의집의 역사와 성장 과정을 함께 살펴봤어요. 처음엔 단순히 예쁜 집 사진을 구경하러 들어갔지만, 이제는 쇼핑하고 시공까지 한 번에 가능한 플랫폼이 되었죠. 인테리어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오늘의집을 통해 나만의 공간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혹시 여러분은 오늘의집에서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도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
오늘의집, 인테리어 플랫폼, 셀프 인테리어, 홈스타일링, 가구 쇼핑몰, 라이프스타일 앱, 스타트업 역사, 커머스 성장, 유저 리뷰, 버킷플레이스
2025.03.30 - [경제 스토리랩] - [브랜드 스토리]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역사
[브랜드 스토리]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역사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역사: 오지의 맛이 세계로 뻗어나간 여정스테이크 하나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아웃백, 그 놀라운 시작과 성장의 비밀을 아시나요?그리고 현재는 BHC 계열사가 된
nomad-kwon.com